개인공부
쿼터 제한 영역 1. 사용자별 하드 제한 영역 (User Hard limit) - 사용자가 파일시스템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최대 공간 -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쿼터 제한 크기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더이상 디스크에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2. 사용자별 소프트 제한 영역(User Soft limit) - 사용자가 소프트 제한 여역에 도달할 때까지 데이터를 자유롭게 저장할 수 있다. - 소프트 제한 영역은 일종의 경고로써, 아직 작업 공간에 여유가 있을때 불필요한 파일을 정리하도록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3. 그룹별 하드 제한 영역 (Group Hard limit) - 쿼터 시스템에 의해 그룹을 저장하는 최종 제한 영역이다. 해당 영역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쿼터를 초기화 하지 않는 경우라도 해당 그룹에 속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 ext - 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하였던 종류,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ext2 - 현재도 사용하며, 긴파일시스템 이름을 지원하는것이 특징 ext3 - 저널링 파일시스템, ext2보다 파일시스템의 복수/보안기능을 크게향상되었고 현재 기본 파일시스템 ext4 - 16TB까지만 지원하던 ext3과 달리 더큰 용량을 지원하며, 삭제된 파일 복구, 파일 시스템 속도가 훨씬 빨라진 파일시스템 iso9660 - DVD/CD-ROM을 위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읽기만 가능 nfs - 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 마운트할때 사용하는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swap - 스왑파일시스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 ufs - Unix system에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사용(Unix File..
데몬이란?-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의 집합 데몬의 동작유형- xinetd 모드와 Standalone 모드xinetd (eXtended Internet Services Daemon / 슈퍼데몬 )- 외부의 요청이 있을때만 반응하기때문에 반응속도가 느리지만, 리소스 소모는 적다. Standalone- 슈퍼데몬에 의지하지 않고 요청이 있을때 신속히 반응 할 수 있지만, 항상 커널에 상주 하고 있기 때문에 리소스 소모가 크다. 데몬의 종류- network네트워크 관련된 정보를 설정을 활성화 하는 데몬 - iptables패킷 필터링 방화벽 데몬- postfix 메일 전송 역할을 하는 메일서버 데몬 리눅스마스터 1,2 급 시험용 데몬ALSA - 사운드 관련 데몬CUPS - 프린터 관련 데몬SANE - 스캐..
SetGID - 프로세스가 실행한 사용자의 GID가 아닌 소유한 그룹의 GID권한으로 실행된다. - setGID가 설정된 디렉토리에서 만들어지는 파일은 모두 해당 디렉토리의 소유 그룹의 그룹 허가권을 갖는다. SetGID 설정방법 -기호모드(g+s)-숫자모드(2000) -팀 단위로 작업할 경우 모든 사용자가 파일을 공유하도록 할 때 사용된다 Sticky Bit - 모든 사용자가 생성/수정/삭제가 가능한 디렉토리에 적용하며, StickyBit 설정 후에는 해당 파일의 소유자만 해당 파일을 삭제할 수 가 있다. StickyBit 설정 - 기호모드 (o+t)- 숫자모드 (1000) #cd /practice #mkdir sticky_test # cd sticky_test # mkdir temp1 temp2[ro..
gpasswd - /etc/group, /etc/gshadow 파일을 관리한다.#gpasswd [옵션] [그룹명]-a [계정] 사용자 계정을 그룹에 추가한다.-d [계정]사용자 계정을 그룹에서 삭제한다.-r 그룹 암호를 삭제한다. 1. 사용자 계정 추가#useradd member1#useradd member2 2. 그룹추가#groupadd -g 2017 group2017#cat /etc/passwd | tail -2// 계정 생성 확인#cat /etc/group | tail -1 // 그룹 생성 확인 3. 사용자 계정을 그룹에 추가#gpasswd -a member1 group2017// member1 계정을 group2017 그룹에 추가#usermod -G 2017 member2// member2 계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