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공부
HTTP 응답 상태 코드 중 자주 리턴되는 코드는 아래 네가지 입니다. 1) 200번대 리턴 코드: 정상적인 경우의 리턴 코드(200 코드가 대부분)2) 300번대 리턴 코드: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 필요한 경우의 리턴 코드 - 대부분 302나 304 코드입니다. 만약 브라우저의 캐시를 사용하여 이미지나 CSS, JS 파일 등을 다시 서버에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 이 코드가 리턴됩니다.3) 400번대 리턴 코드: 클라이언트 오류가 있을 경우의 리턴 코드 - 대부분 404 코드가 많습니다. 만약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주소를 요청하면 이 코드가 리턴됩니다.4) 500번대 리턴 코드: 서버에 오류가 있을 경우의 리턴코드 - 서버에서 예외가 발생했을때 오류 페이지 처리를 하지 않으면 500 코드를 주..
소켓 통신일반적으로 서버는 특정 포트가 바인딩된 소켓를 가지고 특정 컴퓨터 위에서 돌아갑니다. 해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을 소켓을 통해 리스닝하면서 그냥 기다릴 뿐이죠.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떠 있는 머신의 호스트네임과 서버가 리스닝하고 있는 포트 번호를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이 호스트 네임과 포트를 통해서 서버와 연결을 시도하게 됩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서버 상대로 자신을 식별시켜주기 위해서 연결동안 사용될 로컬 포트에 바인딩됩니다. 이 포트 바인딩 작업은 보통 시스템에 의해서 이뤄집니다. 5connect 만약에 모든 게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서버는 연결을 수락하게 됩니다. 수락하자마자, 서버는 동일한 로컬 포트에 바인딩된 새로운 소켓을 얻게 되며 클라이언트의 주소와 포트로 세팅된 ..
포트(Port) 포트란 호스트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짓기 위한 16비트의 논리적 할당 이다. 0~65536개의 갯수를 가진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IP주소는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를 나타내며, 포트는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을 때 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시 예를들어 PC의 IP주소가 192.168.10.20 이라고 하면 컴퓨터에서 FTP로 자료를 받을 때 사용하는 IP주소는 자신의 주소인 192.168.10.20이고 채팅을 할 때의 IP주소도 192.168.10.20이다. FTP서버와 채팅 서버가 각각 패킷을 192.168.10.20 주소로 보내려고 하면 서로 혼동이 생기게 된다. 그 IP주소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하나가 아닌 것이다. 그래서 포트번호가 생겼고, FTP서버가 포트 ..
여러 객체가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네트워크(Network) 라고 한다. 네트워크를 컴퓨터와 컴퓨터로 구성한 것을 인터넷(Internet) 이라고 한다.IP(Internet Protocol)전 세계 수억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정체를 알 수 있도록 특별한 주소를 부여했는데 이 주소를 IP주소라고 한다.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켜야 할 규약이다. IP는 4개의 숫자로 구성되며 숫자의 크기에 따라 IPv4(32비트, 각 숫자는 1바이트), IPv6(128비트, 각 숫자는 4바이트)로 나뉜다.일반적으로 IPv4는 10진수로 표현하며 각 자리는 .으로 구분하고, IPv6는 각 자리를 4자리 16진수로 표현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