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공부
- YUM ( Yellowdog Udater Modifier) RPM기반의 패키지 관리도구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한다.- 설치 가능한 패키지에 대한 정보가 담긴 저장소(Repository)를 가지고 있다. - DVD이미지 혹은, 인터넷이 되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y 설치 과정에 출력되는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h 도움말 출력-v 자세한 메시지 출력 #yum info [패키지명]// 패키지 정보 확인#yum list#yum list all // 설치되었거나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yum list update // 업데이트가 가능한 패키지의 목록만 출력#yum list installed // 이미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출력#yum list..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Desktop" "Fonts" "Korean Support데스크탑 환경(X-Window) 스냅샷 RPM & YUM (패키지 관리 명령어) - RPM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래드햇에서만든 패키지 관리 도구1. CentOS 6.8 DVD Image 파일을 Server-A에 삽입2. #mount -t iso9660 /dev/cdrom /mnt3. #cd /mnt 4. #cd Packages NetworkManager-0.8.1-107. el6. x86_64 .rpm[이름 ][패키지버전][릴리즈][아키텍쳐][확장자] RedhatEnterpriseLinux 6의 커널에서 호환이되는 패키지아키텍쳐 - x86_64 64비..
SWAP 메모리 증설 1. VMware Disk 추가 후 reboot2. #fdisk -l /dev/sdb// 디스크 추가 확인3. #fdisk /dev/sdb// 82 Linux swap 파티션 생성4. fdisk -l// 스왑 파티션 확인5. swapoff /dev/sda2 // 스왑 메모리 off6. free -m// 스왑 메모리 off 확인7. fdisk /dev/sda// 스왑 파티션 삭제8. mkswap /dev/sdb1// 스왑 메모리 생성 및 UUID 확인9. swapon /dev/sdb1// 스왑 메모리 on10.free -m// 스왑 메모리 on 확인11.vi /etc/fstab// /etc/fstab 수정12.reboot// 재부팅 후 작동 확인